인체해부학 (Human Anatomy)
의학의 기초가 되는 학문으로서 인체의 구조를 이해하고 여러 기관의 형태와 기능을 일체로 하여 이해하도록 하며 임상 적용에 쉽게 다가서도록 한다.
의학용어 (Medical Terminology)
보건분야의 급격한 변화와 의학의 진보에 따라 의료종사자에게 의학용어는 의사소통의 중요한 수단으로 필수적이라 하겠다. 의학용어 구성의 기본적인 법칙을 이해하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학습으로 의학용어 사용 및 해독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인체생리학 (Human Physiology)
인체생리를 체계별로 구분하여 기초적인 생리기전을 이해하고 실제의 생리현상과 연관시켜 전문응급구조학 분야의 기초지식을 함양한다.
공중보건학 (Public Health)
보건계의 새로운 흐름과 질병양상의 변화를 이해하여 개인의 건강관리 뿐 아니라 집단 및 전체 사회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역학, 환경보건, 보건관리학 등을 학습한다.
병리학 (Pathology)
질병의 발생원인과 경과 및 예후, 질병의 예방 및 치료과정을 이해하여 응급처치 시 질병에 관한 지식을 폭넓게 배움으로서 응급처치능력을 배양한다.
약리학 (Pharmacology)
응급구조사가 사용할 수 있는 응급약물의 약리작용, 적응증, 용량 그리고 금기증을 중심으로 기초적인 약물 지식을 습득하여 현장에서의 전문응급처치능력을 배양한다.
응급구조학개론 (Introduction to Emergency Medical Service)
응급구조학과 응급구조사, 그리고 응급의료시스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응급의료체계의 중추적 역할 담당의 동기부여를 목표로 한다.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심정지 원인과 심정지환자 평가방법 및 가슴압박, 기도유지, 호흡유지 등의 기본심폐소생술을 익힘으로써 심정지 환자 발생현장에서의 처치능력을 배양한다.
일반응급처치학 및 실습 (Basic Life Support & Practice)
응급구조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의 배경학문으로서 환자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올바른 이론으로 현장 및 이송 중 그리고 의료기관내에서 응급구조사의 활동영역의 기본이 될 수 있도록 학습한다.
구조와 이송 (Rescue & Transfer)
응급환자의 상황과 정도에 따라 구조방법과 이송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직접 시행해 봄으로서 현장에서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강의한다.
응급환자관리학 및 실습 I (Emergency Patient Management & Practice I)
예측할 수 없는 각종 사고에 대비하여 응급의료체계와 환자관리 단계, 응급처치 사항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직접 응급환자관리 방법을 습득하여 응급환자의 발생 시 부터 치료, 병원이송, 기록 작성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응급환자평가 및 실습 (Emergency Patient Assessmen & Practice)
각종 질병을 이해하여 응급환자를 현장에서 평가할 수 있도록 실습을 통해 교육하고 전체적인 평가 순서 및 방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전문심장소생술Ⅰ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Ⅰ)
심정지 환자 및 심정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환자 평가와 심정지 환자에게 정지된 심박동을 회복시킨 후 혈압을 유지하고 뇌손상을 위한 처치와 더불어 심정지 발생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는 주로 활력증상을 정상화시키고 심정지를 예방하기 위한 핵심적인 전문심장소생 처치방법을 체득함으로써 심장질병과 관련된 응급상황 시 대처능력을 배양한다.
응급의학 임상 실습Ⅰ (Clinical Emergency Care PracticeⅠ)
현장과 임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응급상황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응급처치 할 수 있는 실기를 통해 임상적인 응급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응급환자관리학 및 실습 Ⅱ (Emergency Patient Management & Practice Ⅱ)
예측할 수 없는 각종 사고에 대비하여 응급의료체계와 환자관리 단계, 응급처치 사항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직접 응급환자관리 방법을 습득하여 응급환자의 발생 시 부터 치료, 병원이송, 기록 작성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전문응급처치학 및 실습Ⅰ (Advanced Life Support & PracticeⅠ)
응급상태에 있는 환자에 대하여 적기에 적정수준의 응급의료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며 전문적인 응급처치(전문적 기도관리, 전문 심장 소생술 등)에 대한 이론과 응급상황에 대한 실습을 통해 고급 응급구조사로의 자질을 익히도록 한다.
전문심장소생술Ⅱ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Ⅱ)
1급 응급구조사로서 병원 전 단계인 응급현장 및 이송 중 또는 병원 내에서 심폐정지 환자를 조기에 적절한 전문심장소생술 처치를 하기 위해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전문심장소생술 기술을 훈련 및 연마하여 체득하도록 한다.
응급의학 임상 실습Ⅱ (Clinical Emergency Care PracticeⅡ)
응급의료센터 내에서 임상실습을 통하여 실제응급환자에 대한 이해와 환자평가 및 응급처치법을 체득하여 병원 전 단계의 처치와 병원처치의 개념을 이해하고 습득한다.
전문응급처치학 및 실습 Ⅱ (Advanced Life Support & Practice Ⅱ)
병원 전 단계의 응급현장 및 이송 중 응급처치 및 병원에서의 심폐정지 환자를 조기에 적절한 전문심장소생술로 처치하기 위해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도록 한다.
심전도 개론 및 실습 (Introduction of Electrocardiogram & Practice)
심장의 수축에 따른 활동 전류를 그래프화 한 것으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의 관상동맥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부정맥이나 전해질이상 등의 진단학상 매우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이를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직접 해석할 수 있도록 강의한다.
응급의료관련법규 (Laws related to Emergency care)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동시행령, 동시행규칙 및 의료법, 동시행령, 동시행규칙에서 다루는 법률용어의 개념, 법률, 체계, 법규내용, 적용범위 등 응급의료업무와 관련된 법률에 대하여 이해하고 습득한다.
정형외과처치술 (Orthopedic Surgery Care)
정형외과 응급의료의 전반적인 이해와 각 질환의 병태 생리 및 진단과 처치 방법을 습득함으로써 정형외과적 의료 지식을 함양한다.
응급의학 임상 실습Ⅲ (Clinical Emergency Care Practice Ⅲ)
전문응급처치의 지식을 토대로 하여 임상실습(의료기관)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실습을 통해 환자 발생 시부터 생명의 위험을 회복하기까지 구조업무와 적정수준의 응급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응급구조사로서의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전문외상소생술 (Advanced Trauma Life Support)
다발성외상환자의 소생술과 관련된 전문외상처치술의 개념과 처치법에 대해 이해하고 습득하여 전문외상처치능력을 배양한다.
소방서 및 구급차 동승실습 (Emergency Care Practice at the Fire Station and Ambulance)
현장 실습인 소방서에서 구급차에 현장 응급구조사와 함께 동승하여 이송 방법 및 처치에 대한 내용을 직접 실습함으로서 현장에서 습득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전문심장소생술 시나리오실습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scenario Practice)
전문심장소생술에 필요한 숙련된 소생술 술기의 기본적 체득이 이루어진 후 실시되는 실습으로서 심정지 및 심정지가능성이 있는 응급환자발생 가상 시나리오에 따라 현실적응능력이 뛰어난 전문심장소생술 술기의 복합적 활용능력을 배양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4~5명 단위의 팀 운영방식으로 프로젝트 식 수업방식으로 진행한다.
응급처치 시뮬레이션Ⅰ (Emergency Care SimulationⅠ)
응급 상황 시나리오를 통하여 전반적으로 응급처치 순서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시나리오 실습 위주로 강의한다.
기초의학특론 (Basic Medicine In Particular)
임상의학에 대응하는 말로 국가고시 시험 과목 위주의 해부학, 생리학, 약리학, 병리학, 공중위생학, 법의학 등의 기초의학 과목을 총 정리할 수 있도록 강의한다.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과학적 연구에 동원되는 핵심적 분석규준(analytic cannons)과 논리, 관측방법과 자료분석기법을 학습하고, 연구분석안(research design)의 설계능력을 얻기 위한 계량통계분석 실습을 병행함으로써 응급구조학 관련 기초적 연구방법 능력을 함양한다.
보건의료관계법규 (Health related to Emergency Medicine)
보건의료관련 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본적 법규인 국민건강증진법, 국민건강보험법, 전염병예방법, 지역보건법 등의 업무와 관련된 법적문제에 대한 이해와 기초지식을 배양한다.
재난관리학 (Multiple Disaster)
대량 환자가 발생하는 재해 상황시의 재해대책과 전반적인 조직체계를 주지시키며 재해대처과정에서의 응급구조사의 역할을 규명하여 효과적인 임무수행을 할 수 있게 한다.
전문내과응급처치학 (Advanced Medicine emrgency)
병원 전 현장과 의료기관 내에서 각종 내과 응급질환에 대해 이해하고 상황별 응급현장에서의 환자평가 및 처치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중환자응급처치학 (Emergency Care for Critical Patient)
중환자의 집중처치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고 이를 적용하여 환자에 대한 문제를 판단하며 이를 전문적으로 중재함을 목표로 한다.
응급처치 시뮬레이션Ⅱ (Emergency Care Simulation Ⅱ)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익힌 응급처치술기들을 종합하여 숙달 하게하여 실제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키우며 응급구조사 국가시험 기능시험에 대비하여 술기의 절차와 방법을 훈련시킨다.